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드마마 대조영 줄거리, 역사적배경 ,총평

by themost10000 2025. 3. 29.

드라마 대조영 줄거리

**대조영**2006년부터 2007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대하사극으로,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大祚榮)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입니다.

줄거리 개요

당나라의 압박과 고구려의 멸망 속에서 살아남은 대조영이 유민들과 함께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줄거리

고구려 멸망과 유민들의 고난

당나라가 고구려를 침공하고, 결국 고구려는 멸망하게 됩니다.

대조영은 아버지 대중상과 함께 당나라의 억압을 피해 살아남으려 하지만, 유민들은 강제 노역과 학살을 당하며 고통받습니다.

당나라 장수 이적과 설인귀가 고구려 유민들을 억압하는 가운데, 대조영은 유민들과 함께 독립을 모색합니다.

대조영의 성장과 독립운동

대조영은 뛰어난 전략가이자 무장으로 성장하며, 당나라의 탄압에 맞서 싸웁니다.

여러 세력과 연합하며 독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연개소문의 아들 연남생, 말갈족, 돌궐 등과 갈등과 동맹을 맺습니다.

당나라가 고구려 유민을 강제 이주시킨 요동 지역과 흑수말갈 등의 지역에서 세력을 키워 나갑니다.

발해 건국을 위한 투쟁

대조영은 당나라의 압박을 뚫고 동료들과 함께 독립된 국가를 건설할 결심을 합니다.

여러 전투 끝에 천문령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며 당나라의 군대를 크게 무찔러 독립의 기틀을 마련합니다.

결국 698, **동모산(東牟山)**에서 진국(震國)’을 세우고, 이후 나라 이름을 **발해(渤海)**로 바꾸며 고구려의 후계 국가를 자처합니다.

대조영의 통치와 유민 정착

발해를 건국한 후, 대조영은 유민들을 정착시키고 국가 체제를 정비합니다.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조정하며 국제적 입지를 다지고, 경제와 군사력을 강화해 강대국으로 성장할 기반을 닦습니다.

드라마 특징

웅장한 전투 장면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대서사극

대조영의 인간적인 고뇌와 리더십을 강조

당나라, 돌궐, 말갈족 등 다양한 세력과의 갈등과 협력을 다룸

고구려 멸망 후 유민들의 독립운동과 발해 건국 과정을 상세히 묘사

이 드라마는 대조영의 리더십, 고난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정신, 민족의 독립을 향한 의지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역사 속 인물과 사건을 드라마틱하게 재구성한 작품입니다.

 

역사적배경

 

드라마 대조영은 고구려 멸망(668) 이후 **발해 건국(698)**까지의 시기를 배경으로 하며,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와 주요 세력들의 갈등 속에서 대조영이 발해를 세우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1. 고구려의 멸망 (668)

7세기 후반, **당나라()****신라(新羅)**의 연합군이 고구려를 공격하여 멸망시킴.

고구려 멸망 이후, 당나라는 고구려 땅을 차지하고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하여 직접 지배하려 함.

많은 고구려 유민들이 당나라에 끌려가거나, 독립을 위해 저항함.

2. 당나라의 동북아시아 지배 정책

당나라는 고구려 유민을 **요동(遼東)**과 중국 내륙으로 강제 이주시킴.

주요 고구려 귀족들과 군인들은 포로로 잡혀갔으며, 일부는 당나라의 벼슬을 받기도 함.

그러나 많은 유민들은 고구려 부흥 운동을 벌이며, 독립을 위해 싸웠음.

당나라는 또한 신라와 발해 지역의 말갈(靺鞨)족을 이용해 동북 지역을 장악하려 함.

3. 대조영과 고구려 유민의 저항

대조영의 아버지 **대중상(大仲象)**은 고구려 유민 세력을 규합해 독립 운동을 펼침.

대조영도 이에 합류하여 당나라 군대와 맞서 싸움.

당시 주요 저항 세력:

검모잠(劍牟岑): 한반도에서 고구려 부흥 운동을 주도.

고안승(高安勝): 요동 지역에서 독립을 꾀하며 후고구려를 세움.

말갈족: 일부 부족은 당나라에 협력했으나, 일부는 대조영을 따름.

4. 천문령 전투 (698)

당나라 장수 **이진충(李尽忠)****오골내(烏骨內)**가 반란을 일으켜 당의 지배력을 약화시킴.

대조영은 이 기회를 이용해 독립을 선언하고, 유민들을 이끌고 동쪽으로 이동.

당나라의 추격군과 천문령(天門嶺) 전투에서 대승을 거둠.

이 전투에서 대조영은 말갈족과 연합하여 당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함.

이 승리를 계기로 대조영은 완전한 독립을 이루게 됨.

5. 발해 건국 (698)

천문령 전투 이후, 대조영은 동모산(東牟山)**진국(震國)**을 세움.

이후 **발해(渤海)**로 국호를 변경하고, 고구려의 후계 국가로 자리 잡음.

발해는 이후 당나라, 신라, 일본, 돌궐 등과 외교 관계를 맺으며 강국으로 성장함.

드라마와 실제 역사 비교

요소 드라마 실제 역사

대조영의 출신 고구려 장수의 아들 말갈 또는 고구려계 가능성

발해 건국 과정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 연합 실제로도 말갈족과 연합함

주요 전투 천문령 전투 강조 천문령 전투의 역사적 존재 논란 있음

당나라와의 갈등 당나라와 지속적인 전쟁 초반 대립 후 외교적 관계 형성

결론

드라마 대조영은 고구려 멸망 후 발해 건국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비교적 충실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특히 천문령 전투, 당나라와의 갈등, 유민들의 독립 투쟁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과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다만, 대조영의 출신 배경과 세부적인 전개는 역사적 사료가 부족하여 일부 창작이 가미되었습니다.

이 드라마는 발해 건국의 역사적 의의를 조명하고, 고구려의 후계 국가로서의 발해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둔 작품입니다.

 

총평

대조영2006~2007년 방영된 KBS 대하사극으로,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일대기를 다룬 작품입니다. 고구려 멸망 이후 유민들의 투쟁, 천문령 전투, 발해 건국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웅장한 스케일과 화려한 전투 장면, 인물 간의 갈등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1. 장점

역사적 스토리의 장엄함

고구려 멸망 후 혼란스러운 국제 정세 속에서 유민들이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까지의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그려냄.

천문령 전투, 발해 건국 등 역사적 사건을 극적으로 재현하여 몰입도를 높임.

웅장한 전투와 스케일

당시 대하사극답게 전투 장면과 세트 디자인이 매우 뛰어남.

대규모 병력과 전략적인 전투 연출이 돋보였으며, 천문령 전투 등은 드라마의 백미.

인물 간의 심리전과 갈등

대조영(최수종), 설인귀(서인석), 이적(임혁) 등 다양한 인물들의 정치적, 군사적 대립이 흥미롭게 전개됨.

당나라, 신라, 말갈, 돌궐 등 여러 세력 간의 외교와 배신이 드라마의 긴장감을 높임.

발해의 정체성 강조

한국 드라마에서 잘 다뤄지지 않은 발해의 역사적 의미를 부각한 점이 인상적.

발해를 고구려의 후계국으로 자리매김하며, 역사적 정통성을 강조함.

2. 단점

역사적 고증의 아쉬움

대조영의 출신(고구려 귀족 vs. 말갈족) 등 여러 역사적 논란이 있음.

발해 건국의 세부 과정은 기록이 부족한데, 이를 극적 요소로 채우면서 창작이 많이 가미됨.

후반부 전개 속도 저하

초반부(고구려 멸망~천문령 전투)는 매우 긴박하게 진행되지만,

발해 건국 이후 전개가 늘어지는 감이 있음.

후반부에는 정치적 갈등 위주로 흐르며,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음.

반복적인 패턴

주인공(대조영)이 어려움을 겪고 극복하는 패턴이 반복됨.

특히 설인귀(서인석)와의 갈등이 너무 오래 지속되어 지루하다는 의견도 있음.

3. 종합 평가 (8.5/10)

대조영은 웅장한 스케일과 흥미로운 스토리, 뛰어난 캐릭터 연기로 사랑받은 작품입니다.

발해 건국의 의미를 조명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도 가치가 있으며, 한국 사극 중에서 잘 만들어진 대하드라마로 평가받습니다.

하지만 후반부 전개 속도 저하, 역사적 고증의 문제, 반복되는 전개 패턴이 아쉬운 점으로 꼽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해라는 주제를 다룬 몇 안 되는 작품 중 하나로서 사극 팬들에게 강력 추천할 만한 드라마입니다. 😊